반응형

국토교통부에서 대중교통 요금과 걷는 거리에 따라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를 출시했습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에서 업그레이드된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는 이번 연도 7월부터 발급 가능하다고 선언했기 때문에 오늘은 2023년 7월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신청방법부터 마일리지와 카드 등록법까지 모두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란?

 

대중교통비 지출에 부담이 큰 국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고, 보행.자전거 등 친환경 교통수단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새로운 수요관리 정책으로서 개인의 자발적인 노력을 통한 보상으로 대중교통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교통비 혜택입니다. 7월 1일부터 기존 알뜰 교통카드와는 다르게 카드사가 추가되었고, 마일리지 지급 최대 횟수가 확대되는 등의 변경사항이 있습니다.

 

  • 카드사 확대
    - 기존 : 신한, 우리, 하나, 캐시비, 티머니, IM원패스
    - 신규 : 기존 카드사 + 삼성, 국민, 현대, 농협, 광주, 케이뱅크, BC카드 추가
  • 마일리지 지급 최대 횟수 확대
    - 기존 : 최소 15회 이상 최대 44회 까지
    - 플러스 : 최소 15회 이상 최대 60회까지
  • 주민등록번호만 기입하면 가입 완료

 

 

알뜰교통카드 + 안내 바로가기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마일리지 적립

 

일반, 청년, 저소득층에 따라 대중교통요금과 걷기나 자전거로 800m 이상 이동거리에 따라 차등 적립됩니다.

마일리지 지급액은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최대 90%까지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대중교통 이용금액 별 적립액>

대중교통 요금이 2,000원 미만이면, 최대 250원 적립되며, 청년/저소득층인 경우 더 많이 적립됩니다.

대중교통요금 2,000원 미만 2,000원 이상 ~ 3,000원 미만 3,000원 이상
기본 마일리지 최대 250원 최대 350원 최대 450원
만19세 ~ 34세 최대 350원 최대 500원 최대 650원
저소득층 최대 700원 최대 900원 최대 1,100원

 

<이동거리 별 적립액>

대중교통요금 800m 미만 800m 이상
기본 마일리지 이동거리에 비례 최대 금액 지급

* 이동거리에는 환승 과정의 이동거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적립기준

 

대중교통 1회 이용 시 이동거리 최대 800m까지 인정되며, 월 15회 미만 이용 시 적립액은 소멸됩니다.

* 충남지역 방문 시, 충남운수사 환승요금은 마일리지로 적립되며 충남도민인 경우에는 추가로 환승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보행 자전거 이동 시, 최대 800m까지 차등 적립 
    - 노선버스 : 마을버스, 시내버스, 광역버스(시외버스, 고속버스 제외)
    - 도시철도 : 수도권, 부산, 대구, 광주, 대전(경전철 포함)
    - 여객철도 : 광역철도(KTX, 새마을, 무궁화호 등 일반 철도 제외)

  • 월 15회 이상 최대 60회 이용분 마일리지 지급
    - 61회 이상 이용 시 마일리지 적립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익월 지급됩니다.
    - 월 15회 미만 사용 시 마일리지는 소멸됩니다. 첫 달은 횟수와 무관하게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 충남지역 방문 시, 충남버스 ↔ 수도권 1호선 환승 시, 환승 교통수단의 기본요금 환급
    - 새천안교통, 보성여객, 삼안여객 운수사 버스 이용 시 마일리지가 적립되지 않습니다.

  • 충첨남도 도민인 경우, 충남버스 ↔ 타 지역 버스 환승 시, 환승한 교통수단의 기본요금 환급
    - 경기, 대전, 세종, 충북, 전북 버스로 45분 이내 환승해야 합니다.
    - 3회 환승(탑승 4회)까지 환급됩니다.
    * 충남운수버스를 타지 않는 경우 환급되지 않습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추가적립

 

환경의 날이나 미세먼지주의보 발령일에는 마일리지 2배 적립 및 저소득층 서류 제출 시 최대 마일리지를 상향하여 적립할 수 있습니다.

2천 원 미만 : 250원 > 700원

2천원 이상 ~ 3천 원 미만 : 350원 > 900원

3천원 이상 : 450원 > 1,100원

 

  • 저소득 마일리지 상향지원 : 교통비 3,000원 이상 사용 시 최대 1,100원 적립
    * 저소득층 서류 검증 통과 시 적용됩니다.
  • 만 19세 ~ 만 34세 청년마일리지 적립
    * 만 35세부터 기본 마일리지로 적립됩니다.
  • 미세먼지주의보 발령일 마일리지 2배 적립
    * 지역별로 환경부에서 발표한 미세먼지 저감조치일에 해당됩니다.
  • 환경 관련 기념일 마일리지 2배 적립
    * 미세먼지 발령일과 중복 적립되지 않습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지급조건

 

1. 지급 조건

  • 알뜰교통카드 사업 참여 중인 지역주민
  • 월 15회 이상 교통카드 이용
  • 최대 60회까지 적립된 마일리지 지급

2. 카드사 마일리지 지급 조건

3. 그 외 모바일 캐시비, IM원패스, 티머니 등으로 마일리지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 적립 알아보기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모바일페이

 

기존 알뜰교통카드 회원의 실물카드 이용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모바일 페이 이용이 가능해졌습니다. 알뜰교통카드에 등록된 카드만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합니다.(아이폰 이용 불가)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사용절차

 

1. 알뜰교통카드 발급(체크/신용) : 신한, 우리, 하나, 캐시비, 티머니, IM원패스, 삼성, 국민, 현대, 농협, 광주, 케이뱅크, BC카드

2. 알뜰교통카드 앱 설치 (필수)

3. 알뜰교통카드 앱 또는 홈페이지 회원 가입

4. 대중교통 이용 시 알뜰교통카드로 결제

5. 마일리지 적립 방식에 따라 마일리지 산정

6. 15회 이상 이용 시 마일리지 지급

* 마일리지 적립 방법 : 출발/도착 버튼 클릭 >> 즐겨찾기 등록 >> 걸음수 연동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Q&A

문의 답변
알뜰교통카드 신청 시,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중 무엇을 선택하는게 좋나요? 신용카드는 연회비가 있기 때문에 교통비 절약이 목적이신 분들에게는 체크카드를 추천드립니다. (사용 용도에 따라 상이)
마일리지는 언제 지급되나요? 해당월동안 적립 후 카드사에서 다음달에 마일리지를 지급해줍니다.
나이 제한이 있나요? 만 19세부터 가입이 가능합니다.
15회 미만이면 마일리지 적립이 안되나요? 마일리지 적립은 월 15회 이상이여야 가능합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로 이어서 진행해도 되나요? 기존 카드를 이어서 사용해도 바뀐 사항이 똑같이 적용됩니다.
마일리지를 현금으로 받을 수 있나요? 카드사마다 상이하지만 보통적으로 신용카드는 결제대금에서 차감되고, 체크카드는 현금으로 입금됩니다.
이용하는 정류장 정보가 없으면 어떻게 하나요? 주변의 정류장으로 등록 후 사용 가능합니다.

 


 

 

 

한전 에너지캐시백 신청방법 및 에네지 절약법(전기요금 할인 받기)

한국전력공사에서 전력 소비량을 줄이기 위해 개별 세대 또는 아파트 단지가 전기사용량을 줄이면 캐시백으로 돌려주는 전국민 에너지 절감 프로그램인 에너지캐시백을 출시했습니다. 보다 효

forestmemory.tistory.com

 

 

탄소포인트 참여방법 및 입금 신청방법

정부에서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를 절약하면 인세티브를 주는 전 국민 온실가스 감축 실천 제도인 탄소중립포인트 에너지 제도를 출시했습니다. 환경부와 지방자치단체, 한국환경공단이 함께

forestmemory.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