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은 학교 생활을 하면서 노트북, 태블릿 등의 전자기기도 많이 사용하지만 패션뷰티잡화나 생활필수품까지 다양한 상품이 필요한데 그것들에 대하여 교육할인을 적용해 정품을 최대 90%까지 할인가로 합리적이고 착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고, 자격증 강의나 외국어 강의도 할인된 가격으로 만나볼 수 있는 학생복지스토어에 관해 모두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학생복지스토어란?
학생복지스토어는 국내외 다양한 브랜드와 상품, 강의에 대해 교육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대학생 전용 온라인 스토어입니다. 공식 리셀러를 통한 100% 정품만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대학 생활 중 가장 많이 쓰이는 프로그램 중 하나인 MS 오피스 프로그램은 엑셀이나 파워포인트, 워드 등 과제를 할 때나 발표를 할 때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대학생이 정품을 구매하기에는 부담이 될 수 있는 금액이기 때문에 오늘은 대학생 혜택으로 MS 오피스를 무료로 설치하고 이용할 수 있는 방법까지 모두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MS Office란?
MS 오피스는 엑셀, 파워포인트, 워드, 액세스 등이 들어있는 Micro Soft 사의 응용 프로그램을 말하는 것으로 논문이나 보고서, 발표, 과제를 할 때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수업이나 과제 등 다양한 곳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필수로 설치되어야 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MS Office 구입방법
1. MS Office 정품으로 구입한다. - 학생이 구입해서 사용하기에는 너무 가격대가 높습니다..
정부에서 2023년 7월부터 기존 도서 공연비, 박물관 미술관 입장권, 종이신문 구독료 등의 다양한 문화비 소득공제 항목에 영화 관람료의 문화비 소득공제를 추가로 적용했습니다. 요즘 만원이 훌쩍 넘는 영화를 보기가 고민되는 중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엥 문화비 소들공제의 모든 것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문화비 소득공제란?
근로소득자가 신용카드 등으로 도서, 공연티켓, 박물관 미술관 입장권, 영화티켓 및 신문 구독료로 사용한 금액에 대해 연간 300만원 한도(전통시장, 대중교통 소득공제 포함) 내에서 소득공제를 해주는 제도를 말합니다.
국토교통부에서 대중교통 요금과 걷는 거리에 따라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를 출시했습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에서 업그레이드된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는 이번 연도 7월부터 발급 가능하다고 선언했기 때문에 오늘은 2023년 7월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신청방법부터 마일리지와 카드 등록법까지 모두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란?
대중교통비 지출에 부담이 큰 국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고, 보행.자전거 등 친환경 교통수단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새로운 수요관리 정책으로서 개인의 자발적인 노력을 통한 보상으로 대중교통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교통비 혜택입니다. 7월 1일부터 기존 알뜰 교통카드와는 다르게 카드사가 추가되었고, 마일리지 지급 최대 횟수가 확대되는 등의 변경사항이 있습니다.
카드사 확대 - 기존 : 신한, 우리, 하나, 캐시비, 티머니, IM원패스 - 신규 : 기존 카드사 + 삼성, 국민, 현대, 농협, 광주, 케이뱅크, BC카드 추가
마일리지 지급 최대 횟수 확대 - 기존 : 최소 15회 이상 최대 44회 까지 - 플러스 : 최소 15회 이상 최대 60회까지
정부에서 저소득 가구에게 상반기와 하반기에 걸쳐 자녀양육을 지원하는 자녀장려금 제도가 있습니다. 근로장려금과 동일하게 정기 신청은 매년 5월이고, 반기 신청은 3월 초와 9월 초에 진행합니다. 정기 신청을 놓치신 분들도 기한 후 신청을 하실 수 있으니 기한 후 신청 방법과 기준부터 지급일까지 모두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자녀장려금이란?
저소득 가구의 자녀양육을 지원하기 위해 총소득(부부합산) 4,000만 원 미만이면서 부양자녀가 있는 경우 1인당 최대 80만 원을 지급하는 제도로 총소득 기준을 제외한 나머지 수급요건은 근로장려금과 동일합니다.
1. 소득 요건 : 2022년 부부합산 총소득이 가구원 구성에 따라 정한 총소득 기준금액(4,000만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자녀장려금 요건(최대지급액) : 4,000만 원(부양자녀수 x 50 ~ 80만 원)
2. 재산 기준
가구원 전체의 재산 합계액 : 2.4억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 부동산, 전세금, 자동차, 예금 등
구분
단독
홀벌이
맞벌이
요건
배우자, 자녀,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모두 없는 가구
배우자(총 급여액 300만 원 미만) 부양자녀,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있는 가구
신청인, 배우자 모두 총급여액이 300만 원 이상
자녀장려금 신청제외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자녀장려금을 신청할 수 없습니다.
2022년 12월 31일 현재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지 않은 자 *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자와 혼인한 자, 대한민국 국적의 부양자녀가 있는 자는 제외
2022년 중 다른 거주자의 부양자녀인 자
거주자(배우자 포함)가 전문직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자
자녀장려금 지급액
자녀장려금은 자녀의 양육을 돕기 위해서 부부 합산 총소득이 4,000만 원 미만에 부양 자녀가 18세 미만이면 1명당 최대 80만 원씩 지급됩니다.
자녀 1명 = 최대 80만 원
자녀 2명 = 최대 160만 원
자녀 3명 = 최대 240만 원
자녀장려금 개정
2023년 근로장려금은 개정 후 10% 정도 인상되었고, 자녀장려금 역시 기존에는 자녀 1명 다 70만 원을 받았지만 10만 원이 인상되며 1명 당 80만 원을 지급받습니다.
<근로장려금> 단독 : 150만 원 → 165만 원 홀벌이 : 260만 원 → 285만 원 맞벌이 : 300만 원 → 330만 원
<자녀장려금> 1명당 : 70만 원 → 80만 원
자녀장려금 신청방법
모바일이나 서면 안내문을 받은 경우 외에도 신청이 가능한 지 조회하면 결과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신청 조회를 꼭 해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모바일 안내문을 받은 경우 1. 카카오톡, 문자 메시지에 첨부된 안내문을 열람하여 신청하기 2. 홈택스 모바일 앱 신청화면 연결 3. 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 입력 4. 신청완료
서면 안내문을 받은 경우 - QR코드 : 서면 안내문의 QR코드 스캔 → 홈택스 모바일앱 신청화면 연결 → 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 입력 → 신청완료 - 인터넷 홈택스 : 홈택스 홈페이지 접속 → 근로.자녀장려금 → 자녀장려금(정기/반기) 신청 → 개별인증번호.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 입력 → 신청완료 - 홈택스(모바일앱) : 홈택스 모바일앱 설치 → 신청/제출 → 근로.자녀장려금(정기/반기) → 개별인증번호.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 입력 → 신청완료 - ARS(자동응답) 전화 : 1544-9944로 전화하여 음성안내에 따라 신청
모바일 또는 서면 안내문을 받지 않은 경우 - 홈택스(PC) : 홈택스 홈페이지 접속 → 로그인 → 신청/제출 → 근로.자녀장려금 → 자녀장려금(정기/반기) 신청 - 홈택스(모바일) : 홈택스 모바일앱 설치 → 로그인 → 신청/제출 → 근로.자녀장려금(정기/반기) → 신청하기